• #2.무료 웹호스팅 신청하기! (닷홈 무료 웹호스팅)

    2021. 7. 21.

    by. 안다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반발자 안다형입니다!

    지난 글에서 홈페이지 제작 전 꼭 알아야하는 기초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집을 지을 때 땅이 필요하다고 했죠, 그 땅은 홈페이지 만드는 것과 비유하여 서버라고 했던 것 기억하시나요?

    그 서버를 우리는 웹호스팅으로 하는 게 유리하다고 했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웹호스팅을 간략하게 소개해드리고 마쳤는데요, 이제 본격적으로 닷홈이라는 사이트에서 무료 웹호스팅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닷홈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www.dothome.co.kr/ 

     

    닷홈 | 호스팅은 닷홈

    닷홈은 도메인, 무료 웹호스팅, 웹빌더, 메일호스팅, SSL보안인증서, 서버호스팅, 코로케이션 등 다양한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ww.dothome.co.kr

     

    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호스팅 메뉴에 마우스를 올리면 메뉴가 아래로 쭉 생기게 되는데요, 그중 무료 호스팅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호스팅 비용은 아무리 적게 들어가도 비용이 발생될 수 밖에 없는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니.. 정말 갓홈이네요...❤️

     

    뮤료호스팅 신청하기를 클릭해서 진행해주세요!~

     

    여러분이 만나게 되는 가장 첫번째 관문은 바로 이것일 거예요!

    하나씩 또 같이 알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_*

     

    ※닷홈 무료 웹호스팅 생성에 한해서 이야기하는 내용이니 다른 호스팅 신청할 때의 방법/개념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먼저 FTP아이디를 지정해주세요. FTP아이디는 웹호스팅 계정ID라고 보아도 무관합니다!

    FTP아이디를 지정하면 DB명과 DB아이디로 동일하게 지정되고, 기본제공 도메인 맨 앞에 자동으로 붙어 임의의 도메인이 무료로 생성됩니다!

    지난 시간에 도메인은 구입해야 한다고 말헀었죠? 이 도메인은 구입하는 도메인이 아닌 닷홈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도메인이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FTP와 DB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구요? 간략한 개념정도만 짚고 넘어가는 걸로 하겠습니다!

     

    FTP는 윈도우의 탐색기와 같은 개념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FTP를 사용하면 정말 편리하게 파일을 관리할 수가 있습니다.

    DB는 웹사이트를 제작할 때 방대한 데이터가 사용되는데, 그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입니다. 사전과 같이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 편하게 되어 있으며, 인덱스를 만들고 그 안에 테이블을 만들어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마치 큰 범주 안에서 작은 세세한 카테고리를 찾듯이 말이죠!

     

    FTP암호와 DB암호도 지정해준 뒤 신청을 완료하면 준비 끝!

    FTP암호와 DB암호는 다르게 설정하면 보안적으로 더 좋답니다! (닷홈에서는 같게 설정할 수는 있네요!)

     

    무료호스팅 신청을 마쳤다면, 상단 위의 마이닷홈을 클릭하여 내 웹호스팅 목록에 방금 신청한 웹호스팅 계정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저는 다른 계정도 가지고 있기 떄문에 그것은 블러처리 해두었습니다.ㅎㅎ

     

    삼세보기를 눌러서 한번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지요!

     

    이곳에서 서버에 대한 정보들을 볼 수 있는데요, 먼저 맨 위에 있는 기본 제공 도메인은 이제부터 무료 기간이 끝날 때까지 당신에게 제공된 주소랍니다! 각자 본인의 사이트 주소를 클릭해서 접속해보세요!

     

    그러면 이러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건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이제 내가 원하는대로 화면을 구성하고 내가 코딩해서 웹사이트를 만들고 싶은데..!!!

    이때 필요한 것은 바로 FTP입니다. FTP서버에 접속하여 내 서버의 파일들을 관리할 수 있게 되겠죠.

    FTP서버로 접속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하는 게 가장 편리합니다.

     

     

    FileZilla

    신난다 무료 FTP 클라이언트

    filezilla.softonic.kr

    저는 오랜시간 파일질라를 사용해서 이 프로그램이 편한데, 알드라이브라는 프로그램도 있으니 개인의 취향에 맞게 이용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FTP프로그램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파일질라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파일-사이트관리자를 클릭하고 새로운 사이트를 만들어주세요.

    마이닷홈에서 내 계정정보에서 웹서버 아이피를 확인하고 호스트란에 입력해주세요. (*andabro.dothome.co.kr을 입력해도 동일하게 접속 가능합니다!) 그리고는 FTP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연결해주세요!

     

    FTP프로그램은 보통 이렇게 되어있어요.

    구성이 조금씩 다를 수는 있겠지만, 맨 위에는 로그인하면 접속하는 것부터 진행하는 것들이 log로 남겨집니다.

    좌측은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들을 탐색할 수 있고요, 우측은 내 서버의 파일들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화면 안에서 내 파일을 업로드 할 수 도 있고, 서버에 있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제거하는 등 파일 관리가 가능하답니다.

    마지막으로 맨 아래에는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할 때 파일 하나하나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우측 서버쪽 화면을 보면, 윗부분은 폴더를 트리구조로 나타내줍니다. (폴더만 보여주고 있으며, 파일은 표시하지 않음)

    트리구조란, 나무의 가지가 뻗어나가듯이 정보를 상위, 하위 개념으로 정렬하여 나타대는 형태의 자료구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구글에 검색하니 더 어려운 말로 나와서 저만의 언어로 풀어서 설명했습니다..^^;;

     

    원하는 폴더로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윗부분으로 찾는 게 빠른 탐색에 유리합니다.

    아랫부분에는 해당 폴더 내에 있는 모든 폴더와 파일들을 보여주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파일을 그 중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html폴더는 root폴더입니다.

     

    갑자기 나온 root...??!!

    ROOT폴더란,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최상위 폴더로, 이곳에 폴더, 파일을 업로드하면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닷홈의 root폴더 구성은 위 이미지 처럼 되어있어요. 그중 html폴더가 root폴더입니다. 이곳에 파일을 넣으면 우리는 웹브라우저로 볼 수 있는데요, root폴더 내부에 images 폴더를 생성했을 때 그 경로는 www.andabro.dothome.co.kr/images/가 됩니다. root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진행하면 디렉토리가 꼬여서 서버를 초기화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오기도 합니다. (헉!)

     

     

    root폴더인 html폴더를 한번 들어가볼까요?

    일반적으로 서버 내 폴더를 접속했을 때, 그 폴더의 index파일을 불러옵니다. 위 이미지를 보면 index.html, index.php와 같은 파일은 보이지 않지요. 이 서버에서는 setup-finish.html을 index파일로 인식해서 가장 처음 화면으로 보여줍니다. 한번 이제 우리가 직접 코딩하여 index파일을 만들어볼까요?

     

    

    에디터 프로그램을 실행사켜 코딩을 시작해보도록 할게요!

    윈도우 메모장을 이용해도 되고, 제가 사용하는 Brackets 프로그램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A modern, open source code editor that understands web design

    Brackets is a lightweight, yet powerful, modern text editor. We blend visual tools into the editor so you get the right amount of help when you want it. With new features and extensions released every 3-4 weeks, it's like getting presents all year long.

    brackets.io

    코딩을 조금이라도 배워보셨다면, 자유롭게 입력해주시고, 만약 코딩의 ㅋ도 모른다! 하시면 아래 압축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압축파일 안에는 위에서 작성한 index파일과, 이미지가 들어있습니다.)

    html.zip
    0.07MB

     

    파일을 여러분 서버의 root폴더에 업로드해주세요! (압축파일 그대로 업로드X -> 압축 푼 뒤 업로드!🙏)

    그리고 기존에 있던 setup-finish.html 파일은 삭제해주세요.

     

    그리고 여러분 웹사이트 주소로 들어가게 되면 적용된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여러분은 이제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알게 되셨을 거예요!

    코딩에 대해서 조금 더 알고싶으시다면 생활코딩에서 조금이나마 맛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코딩을 알려드릴 수 있는 수준까지는 못되니.. 팻스하겠습니다!ㅜㅜ;;

     

     

    생활코딩

    hello world 생활코딩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생활코딩은 일반인들에게 프로그래밍을 알려주는 무료 온라인, 오프라인 수업입니다.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를 생각해보기 전에 왜 프로그

    opentutorials.org

     

    이번엔 무료 웹호스팅 생성과, FTP 접속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조금 어려운 (저도 이해를 잘 못하는) DB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후하~!)

    반발자 안다형은 이만 들어갑니다! 안냥!

    반응형

    댓글